목차 들어가는 말 = 7 제1장 우리의 사고를 전달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하여 = 15 제2장 말의 첫 발명은 욕구가 아닌 정념에서 왔다 = 25 제3장 처음의 언어는 형상적이었다 = 29 제4장 최초의 언어가 나타낸 특성과 변화 = 33 제5장 글쓰기에 대하여 = 39 제6장 호메로스는 과연 글씨를 쓸 줄 알았던 것일까 = 49 제7장 근대 음조론 = 53 제8장 언어 기원의 보편적인 차이와 지역적인 차이 = 61 제9장 남방 언어의 형성 = 65 제10장 북방 언어의 형성 = 85 제11장 이런 차이들에 대한 고찰 = 91 제12장 음악의 기원 = 95 제13장 선율에 관하여 = 101 제14장 화음에 관하여 = 107 제15장 우리의 아주 예민한 감각은 어떻게 정신적 영향에 의해 작용하는가 = 113 제16장 색과 음 사이의 유사성에 대한 오해 = 119 제17장 자신의 예술에 해로운 음악가의 오류 = 127 제18장 어떻게 그리스 음악 체계와 우리의 음악 체계는 전혀 관련성이 없는가 = 131 제19장 음악은 어떻게 퇴화했는가 = 137 제20장 언어와 통치 형태와의 관계 = 145 해제 - 자연으로 돌아가라! = 150 1. 시대가 흐를수록 새롭게 다가오는 루소 = 150 2. 루소의 삶 = 153 3. 언어의 기원에 관한 여러 주장들 = 166 (1) 신수설 = 171 (2) 의성설 = 176 (3) 유추설 = 177 (4) 감정 표출설 = 178 (5) 가창설 = 179 (6) 몸짓설 = 180 (7) 노동설 = 181 (8) 의지설 = 182 (9) 진화설 = 182 4. ≪언어 기원에 관한 시론≫에서 루소가 주장하는 것 = 187 5. 인식론적 단절을 이룬 루소의 사상 = 200 6. 당대의 학자들을 당혹스럽게 한 루소 = 207 7. 시대를 앞서간 포스트모더니스트 = 210 주 = 213 더 읽어야 할 자료들 = 235 옮긴이에 대하여 = 242